녹비작물의 종류, 특성, 재배방법 및 토양개량 효과
녹비작물은 휴경지 없이 경작지에 심어 자란 뒤 갈아엎어 유기물과 질소를 공급하는 작물이다. 토양 유기물 함량 증가, 구조 개선, 병해충 억제 등 다양한 효과를 가져온다.
-
콩과 녹비작물
-
공통 특성
-
뿌리혹박테리아와 공생해 질소고정
-
다량의 바이오매스로 토양 유기물 증대
-
뿌리가 깊어 토양 구조 개선
-
1.1 헤어리베치 (Vicia villosa)
-
파종시기: 가을(9~10월)
-
파종량: 20~30kg/ha
-
관리: 가을 파종 후 초기 잡초 제거, 이듬해 초여름 개화 전 갈아엎기
-
효과: 질소공급, 유기물 증대, 토양 침식 방지
1.2 클로버류 (토끼풀·적색·화이트클로버)
-
파종시기: 봄·가을
-
파종량: 15~25kg/ha
-
관리: 제초관리 및 적절한 관수
-
효과: 질소공급, 표토 보호, 미생물 활성 촉진
1.3 자운영 (Astragalus sinicus)
-
파종시기: 가을
-
파종량: 20kg/ha
-
관리: 논에 파종 후 모내기 전 갈아엎기
-
효과: 벼 기초질소원, 토양 유기물 증가
1.4 루핀 (Lupinus spp.)
-
파종시기: 봄
-
파종량: 25kg/ha
-
관리: 잡초관리 후 개화 전 갈아엎기
-
효과: 심층 토양개량, 질소 공급
-
화본과 녹비작물
-
공통 특성
-
빠른 생육으로 피복효과 우수
-
다량의 잔재물로 유기물 공급
-
뿌리 활착으로 토양 통기성 개선
-
2.1 호밀 (Rye)
-
파종시기: 가을(9~10월)
-
파종량: 120kg/ha
-
관리: 이듬해 개화 전 갈아엎기
-
효과: 토양 구조 개선, 유기물 함량 증가
2.2 보리 (Barley)
-
파종시기: 가을
-
파종량: 100kg/ha
-
관리: 봄철 출수 전 경운
-
효과: 유기물 증대, 침식 억제
2.3 옥수수 (Maize)
-
파종시기: 봄~초여름
-
파종량: 50kg/ha
-
관리: 수확 후 줄기·잎 환원
-
효과: 대량 유기물 공급, 잡초 억제
2.4 수단그라스 (Sorghum sudanense)
-
파종시기: 늦봄~초여름
-
파종량: 60kg/ha
-
관리: 중간 예취 후 최종 갈아엎기
-
효과: 지력 증진, 구조 개선
-
기타 녹비작물
-
메밀 (Buckwheat)
-
파종시기: 봄·가을
-
생육기간: 60~80일
-
효과: 잡초 억제, 유기물 공급
-
-
유채 (Rapeseed)
-
파종시기: 가을
-
파종량: 5kg/ha
-
관리: 봄 개화 전 환원
-
효과: 구조 개선, 침식 방지
-
-
겨자 (Mustard)
-
파종시기: 가을·초봄
-
파종량: 10kg/ha
-
관리: 예취 후 토양 혼합
-
효과: 병해충 억제, 유기물 증대
-
-
재배 관리 시 주의사항
-
최적 파종시기 준수: 내한성·생육온도 고려
-
적정 파종량·밀도 유지: 잡초 억제 및 생체량 확보
-
비료·관수 계획: 콩과는 질소비료 최소화, 타 작물 초기 기비 적용
-
제초·병해충 관리: 초기 잡초 제거, 유기방제법 검토
-
갈아엎는 시기: 생장 최성기(개화 전·출수 전)
-
후작물 연계: 녹비 분해 후 충분 휴지기 확보
-
토양개량 및 환경적 효과
-
유기물 함량 증가: 토양 물리·화학성 개선
-
질소공급: 콩과의 질소고정으로 화학비료 절감
-
구조 개선: 뿌리채널 형성으로 통기성·배수성 향상
-
침식 방지: 표토 피복으로 직접 노출 최소화
-
병해충 억제: 특정 작물 분해 시 억제 성분 방출
-
환경보전: 화학비료·농약 사용 감소로 생태계 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