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어리베치(Hairy Vetch)의 특성과 재배 방법
-
헤어리베치 개요
헤어리베치(Vicia villosa)는 콩과에 속한 녹비작물로 토양 개량과 질소 고정 능력이 뛰어나며, 다양한 기후와 토양 조건에서도 잘 자란다. 주로 녹비작물, 사료작물, 피복작물로 사용된다. -
헤어리베치의 특성
-
생육 특성:
-
초기 생장은 느리지만 후반에 빠르게 자람
-
덩굴성으로 다른 작물을 감싸는 생장 형태
-
건조와 저온에도 강함
-
뛰어난 질소 고정 능력
-
-
토양 개량 효과:
-
유기물 공급 및 질소 공급으로 후작물의 생산성 증대
-
지표면 피복으로 토양 침식 방지 및 잡초 억제
-
-
활용 분야:
-
녹비작물, 사료작물, 토양 피복작물
-
-
재배 방법
(1) 가을 파종
-
시기: 9월~10월
-
파종 방법: 2
3cm 깊이에 직파 또는 점파, 파종량 1525kg/ha -
관리 방법:
-
초기 잡초 관리 및 월동 준비
-
봄철 생장 가속화로 녹비 효과 극대화
-
(2) 봄 파종
-
시기: 3월~4월
-
파종 방법: 직파 또는 점파, 파종량 20~30kg/ha
-
관리 방법:
-
충분한 수분 공급 및 초기 잡초 관리
-
여름철 녹비작물로 활용 가능
-
(3) 여름 파종
-
시기: 6월~7월
-
파종 방법: 혼파 가능(옥수수, 수수 등), 파종량 25~35kg/ha
-
관리 방법:
-
건조기 대비 충분한 수분 공급
-
잡초 억제 및 사료작물로 활용 가능
-
-
재배 관리
-
비료 관리:
-
질소 비료는 최소화하고 인산, 칼륨 위주 시비
-
초기 생육 촉진 시 미량의 질소 비료 사용 가능
-
-
잡초 및 병해충 관리:
-
초기 잡초 제거 필수
-
진딧물, 잎마름병 등의 병해충 예방 관리
-
-
수확 및 활용:
-
녹비작물: 개화 직전(4~5월)에 토양 환원
-
사료작물: 개화기 이후 건초 또는 사일리지로 이용
-
-
헤어리베치 재배의 장점
-
토양 개량 및 생산성 향상
-
환경 친화적인 지속 가능한 농업 실현
-
다양한 용도로의 활용 가능
적절한 작기와 관리법을 준수하면 헤어리베치를 통한 농업 생산성 향상과 토양 환경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