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PE 실행하기: 이론에서 실천으로
GPE의 원리를 이해했다면, 이제 실제 온실에 적용할 차례입니다. 데이터 기반의 정밀한 환경 제어를 통해 식물의 잠재력을 깨우고 지속 가능한 농업의 미래를 열어보세요.
GPE 실행의 두 기둥: 습공기 & RTR
도구 1: 습공기 선도 마스터하기
온실의 온도와 습도 관리는 모든 제어의 기본입니다. 아래 인터랙티브 습공기 선도를 통해 공기의 상태 변화를 직관적으로 이해하고, 환기와 가습/제습 전략의 과학적 근거를 파악해보세요.
공기 상태 제어
절대습도 (AH): g/kg
수분부족분 (HD): g/kg
이슬점 (Dew Point): °C
엔탈피 (Enthalpy): kJ/kg
쾌적 지수: 75점
작물과 생육 단계를 선택하여 식물에 가장 이상적인 온도/습도 구간(녹색 영역)을 확인해보세요.
최적 환경 선택
도구 2: RTR(온도-광량 비율) 관리하기
식물의 동화산물 균형은 일일 평균 온도와 총 광량의 비율(RTR)에 따라 결정됩니다. 아래 시뮬레이터에서 목표 RTR을 설정하고, 실제 데이터와 비교하여 균형 달성률을 확인해보세요.
목표 RTR 설정
일일 결과 시뮬레이션
균형 달성률: N/A
24시간 데이터 입력
시간 | 측정 온도(°C) | 측정 광량(μmol/m²/s) |
---|
데이터를 입력하고 분석 버튼을 누르세요.
주간 시간대별 상세 분석
시간 | 측정 온도(°C) | 측정 광량(μmol/m²/s) | 목표 증가율(°C/100μmol) |
---|
주간 데이터를 입력하고 분석 버튼을 누르세요.
데이터 기반 재배 전략 수립
성공적인 재배는 장기적인 계획에서 시작됩니다. 연중 예상 광량에 맞춰 목표 생산량과 작물 부하(열매 수)를 계획하여 동화산물 균형을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을 시뮬레이션해 보세요.
💡 작물 부하(Plant Load)란?
작물 부하는 식물이 책임져야 할 열매나 꽃의 총량을 의미합니다. 이는 식물의 에너지 소비(Sink) 크기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입니다. 연중 광량(에너지 생산)에 맞춰 작물 부하를 계획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동화산물 균형을 유지하고, 꾸준한 생산성과 품질을 확보하는 핵심입니다.
계획 일치도: 100점
주차별 실측 데이터 분석
선택된 작물의 재배 기간에 맞춰, 주차별 실제 수확량과 작물 부하, 평균 광량을 입력하고 '분석하기' 버튼을 누르면 최적 계획과 비교해드립니다.
데이터를 입력하고 분석 버튼을 누르세요.
작물별 최적 RTR 시뮬레이터
작물마다 최적의 RTR은 다릅니다. 주요 시설 작물을 선택하여 이상적인 RTR 목표선을 확인하고, 가상의 날씨 데이터를 추가하며 균형 관리법을 연습해보세요.
작물을 선택하세요
작물을 선택하면 여기에 해당 작물의 RTR 특성과 최적 관리 전략이 표시됩니다.
미래를 향한 GPE
데이터 주도 농업
GPE는 재배자의 '감'을 데이터로 전환합니다. 식물의 반응(VPD, 생장률)과 환경 데이터(온도, 습도, 광)를 지속적으로 측정하고 분석함으로써, 우리는 더 이상 추측이 아닌 사실에 기반하여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습니다. 이는 실수를 줄이고 성공을 재현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자율 온실
GPE의 6가지 균형 원리는 자율 온실을 위한 완벽한 운영체제(OS)를 제공합니다. AI는 GPE 프레임워크 위에서 학습하여, 단순히 온도를 맞추는 것을 넘어 식물의 균형을 최적화하는 방향으로 온실을 스스로 제어하게 될 것입니다. 이것이 바로 GPE가 꿈꾸는 진정한 의미의 스마트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