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플레어에서 도메인 레코드 설정 방법 및 절차

 ✿ 클라우드플레어에서 도메인 레코드 설정 방법 및 절차

1. 클라우드플레어 도메인 레코드 개요

  • 클라우드플레어(Cloudflare)는 DNS 관리 기능을 제공하여 도메인의 트래픽을 안전하게 보호하고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음.

  • 다양한 유형의 DNS 레코드를 설정하여 웹사이트, 이메일 및 기타 서비스를 연결 가능.

2. 클라우드플레어 도메인 레코드 설정 절차

1) 클라우드플레어 계정 로그인 및 도메인 선택

2) DNS 관리 페이지 이동

  • 도메인 선택 후 상단 메뉴에서 “DNS” 탭 클릭.

  • DNS 관리 페이지에서 기존 레코드 확인 및 새 레코드 추가 가능.

3. 클라우드플레어 도메인 레코드 유형별 설정 방법

1) A 레코드 (IPv4 주소 연결)

  • 용도: 특정 도메인을 특정 IPv4 주소에 연결할 때 사용.

  • 설정 방법:

    • Type: A

    • Name: 도메인 또는 하위 도메인 (예: @, www)

    • IPv4 Address: 서버의 IP 주소 입력

    • TTL(Time to Live): 자동 설정

    • Proxy Status: 활성(Cloudflare 사용) 또는 비활성(직접 연결)

2) AAAA 레코드 (IPv6 주소 연결)

  • 용도: 특정 도메인을 IPv6 주소에 연결할 때 사용.

  • 설정 방법:

    • Type: AAAA

    • Name: 도메인 또는 하위 도메인

    • IPv6 Address: 서버의 IPv6 주소 입력

    • 기타 설정은 A 레코드와 동일.

3) CNAME 레코드 (별칭 설정)

  • 용도: 도메인을 다른 도메인에 연결할 때 사용.

  • 설정 방법:

    • Type: CNAME

    • Name: 설정할 서브도메인 (예: www, blog)

    • Target: 대체할 도메인 (예: example.com)

    • Proxy Status: 활성 또는 비활성

4) MX 레코드 (이메일 서버 설정)

  • 용도: 도메인으로 이메일을 받을 수 있도록 메일 서버 지정.

  • 설정 방법:

    • Type: MX

    • Name: 도메인명 (@)

    • Mail Server: 메일 제공업체에서 제공한 주소 입력

    • Priority: 낮은 숫자가 높은 우선순위

    • Proxy Status: 비활성

5) TXT 레코드 (도메인 인증 및 기타 설정)

  • 용도: 도메인 소유권 인증, SPF, DKIM, DMARC 설정 등.

  • 설정 방법:

    • Type: TXT

    • Name: @ 또는 특정 하위 도메인

    • Content: 제공된 인증 코드 또는 설정 값 입력

    • TTL: 자동 설정

6) SRV 레코드 (특정 서비스 연결)

  • 용도: SIP, XMPP 등의 특정 서비스 연결 설정.

  • 설정 방법:

    • Type: SRV

    • Name: 서비스 및 프로토콜 입력

    • Priority, Weight, Port, Target 값 설정

    • Proxy Status: 비활성

4. 도메인 레코드 설정 후 확인 및 적용

  • 모든 설정 완료 후 “Save” 버튼을 클릭하여 저장.

  • DNS 변경 사항은 일반적으로 수 분~수 시간 내 적용됨.

  • 도메인 연결 테스트: nslookup 또는 dig 명령어 사용하여 확인 가능.

5. 결론

  • 클라우드플레어의 DNS 관리 기능을 통해 도메인 트래픽을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제어 가능.

  • 다양한 레코드 유형을 설정하여 웹사이트, 이메일, 보안 인증 등 다양한 서비스 활용 가능.

  • 변경 후 적용까지 일정 시간이 소요될 수 있으므로 적용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