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기술용역

 

✿ 건설기술용역

한국에서 건설기술 용역이란 건설 프로젝트와 관련된 기획, 조사, 설계, 시공, 감리, 시험, 평가, 측량, 컨설팅, 지도, 품질관리, 안전점검, 프로젝트 관리 등의 전문 서비스를 포함하는 개념입니다. 이러한 서비스는 건설기술 진흥법에 의해 규제됩니다.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건설기술 진흥법 주요 내용

  1. 목적 및 범위

    • 본 법은 건설기술 수준을 향상시키고, 건설공사의 품질을 개선하며, 안전을 확보하여 국민 복지와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건설기술의 정의

    • "건설기술"은 건설공사와 관련된 기획, 설계, 시공, 감리, 프로젝트 관리 등의 광범위한 기술 활동을 포함합니다.
  3. 건설기술 발전을 위한 기본계획 수립

    • 국토교통부 장관은 5년마다 건설기술 연구개발 및 산업 발전을 촉진하기 위한 기본계획을 수립해야 합니다.
  4. 건설기술용역업 등록 요건

    • 건설기술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기업 또는 개인은 일정한 자격 요건을 갖추고 해당 기관에 등록해야 합니다.
  5. 의무 및 금지사항

    • 건설기술용역 사업자는 명의대여 금지, 성실한 업무 수행, 관련 법령 준수 등의 의무를 지며, 위반 시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6. 위반 시 처벌 조항

    • 등록 없이 불법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부정행위를 하는 경우 사업 정지 또는 등록 취소 등의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관련 법률

  • 건설산업기본법: 건설산업 전반을 규제하고, 건설업자의 등록 및 시공 관리에 대한 기준을 규정합니다.
  • 하도급거래 공정화에 관한 법률: 하도급 계약의 공정성을 보장하고, 하도급업체가 불공정한 대우를 받지 않도록 보호하는 법률입니다.

특히, 외국인 투자자 및 프로젝트 발주자의 경우 **국제 표준 계약(FIDIC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한국법을 준수하도록 조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한국의 건설법 체계는 공정성과 신의성실 원칙을 중요시하며, 계약에서도 이를 반영해야 합니다.

결론

건설기술 진흥법을 비롯한 여러 관련 법률은 한국에서 건설기술 서비스를 규제하는 중요한 법적 틀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법률은 건설 기술의 발전을 촉진하고, 안전을 확보하며, 공정한 거래를 보장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