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DNS 설정 문제
발생 가능한 원인:
- Blogger에서 제공한 CNAME 값을 제대로 입력하지 않았거나, TTL이 너무 길어서 적용이 늦어지고 있을 수 있어.
- Cloudflare에서
Proxy (Proxied, 오렌지색 구름 아이콘)
가 활성화되어 있어서 문제일 수 있어.
해결 방법:
Cloudflare의 DNS 설정에서 CNAME 레코드 확인
- Blogger에서 제공한 CNAME (예:
ghs.google.com
및 특정 코드 값) 두 개를 정확히 입력했는지 확인. - A 레코드 대신 CNAME으로 연결하는 것이 가장 안정적이야.
- www 서브도메인을 사용하려면
www
→ghs.google.com
CNAME을 추가해야 해.
- Blogger에서 제공한 CNAME (예:
Proxy (Proxied)
모드 해제- Cloudflare의 DNS 설정에서 CNAME 및 A 레코드가 **"Proxied (오렌지색 구름 아이콘)"**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DNS only (회색 구름 아이콘)"**으로 변경해야 해.
- Blogger는 Cloudflare의 프록시(Proxy) 모드를 지원하지 않아서 직접 연결해야 해.
2. HTTPS 설정 문제
발생 가능한 원인:
- Blogger에서 HTTPS를 활성화하지 않았거나, Cloudflare의 SSL 모드 설정이 잘못되었을 수 있어.
해결 방법:
Blogger에서 HTTPS 리디렉션 활성화
- 설정 → HTTPS에서
- "HTTPS 사용 가능"을 "사용"
- "HTTPS 리디렉션"을 **"사용"**으로 설정.
- 설정 → HTTPS에서
Cloudflare의 SSL/TLS 모드 설정 변경
- Cloudflare에서 SSL/TLS → Overview로 이동.
- SSL 모드를 "Full" 또는 **"Full (Strict)"**으로 설정.
- Flexible 모드는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사용하지 말 것.
- "Always Use HTTPS" 옵션이 **"On"**인지 확인.
3. 캐시 및 적용 지연 문제
발생 가능한 원인:
- Cloudflare나 브라우저 캐시가 문제를 일으켜 도메인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어.
- DNS가 완전히 전파되지 않았을 수 있어(최대 48시간 소요될 수도 있음).
해결 방법:
Cloudflare에서 캐시 삭제 (Purge Cache)
- Cloudflare에서 Caching → Configuration → Purge Everything 클릭.
브라우저 캐시 삭제
- 브라우저에서 Ctrl + Shift + R (강제 새로고침) 또는 캐시 삭제 후 다시 접속.
DNS 전파 확인
- https://dnschecker.org/에서 도메인을 입력하여 DNS가 전파되었는지 확인.
4. 리디렉션 문제 (www와 비-www)
발생 가능한 원인:
- Cloudflare에서 www를 사용해야 하는지, 루트 도메인을 사용할 것인지가 명확하지 않아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해결 방법:
- Blogger는 기본적으로 www.example.com 형식의 서브도메인으로 연결해야 해.
- 루트 도메인(example.com)을 사용하고 싶다면 Cloudflare의 "Page Rules"에서 리디렉션 설정을 해줘야 해.
- Cloudflare → Rules → Page Rules로 이동.
- **"example.com" → "https://www.example.com"**으로 301 리디렉션 설정.
✅ 요약 및 체크리스트
✔ Cloudflare DNS 설정에서 CNAME 확인 (Blogger 제공 값)
✔ Cloudflare에서 Proxied(프록시) 모드 해제 (DNS only 설정)
✔ Blogger HTTPS 활성화
✔ Cloudflare의 SSL 설정을 Full 또는 Full (Strict)으로 변경
✔ Cloudflare 캐시 삭제 및 브라우저 캐시 제거
✔ DNS 전파 확인 (최대 48시간 소요 가능)
✔ www와 비-www 리디렉션 설정 확인